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P>후발업체들 KT보다 싼 수신료 책정 <P><BR></P> <P>내년 초 상용서비스를 실시하는 후발 IPTV 업체들이 가격 경쟁을 예고하고 나섰다. 22일 방송통신위원회<BR>(위원장 최시중 www.kcc.go.kr) 등에 따르면 SK브로드밴드와 LG데이콤은 최근 이용약관 승인 신청서를 <BR>방통위에 제출했다. </P> <P><BR></P> <P>여기엔 선발 주자인 KT보다 저렴한 수신료 내역이 담겨져 있다. </P> <P><BR></P> <P>이와 관련해 방통위와 해당 업계는 “두 회사가 내년 1월1일부터 적용하려는 ‘기본형 서비스’의 월 수신료가<BR> KT에 비해서 천원~이천원 정도 저렴하게 책정돼있다”고 밝혔다. 허나 ‘고급형 서비스’의 경우엔<BR> 세 회사의 요금수준이 비슷하다. </P> <P><BR></P> <P>현재 KT측이 적용하고 있는 ‘메가TV 기본형’ 요금은 월 1만6000원. 그리고 ‘메가TV 고급형’은 이보다 <BR>7000원이 더 비싼 2만3000원이다. </P> <P><BR></P> <P>그렇지만 IPTV의 월 수신료는 서비스 업체별로 더 차이가 날 것으로 보인다. 업계 3위인 LG데이콤이 <BR>현재 가입자 유치를 위해 약정 연한에 따라 가격할인폭을 KT나 SK브로드밴드보다 더 늘린다는 방침을 <BR>세워놓고 있는 까닭이다. </P> <P><BR></P> <P>LG데이콤 계열인 LG파워콤은 지난 11월17일 증권거래소에 낸 유가증권 신고서에서 IPTV 월 수신료로<BR> 1만3000원을 써내며 가격경쟁에 불을 당긴 바 있다. </P> <P><BR></P> <P>이처럼 IPTV 업체들이 본격 가격경쟁의 조짐을 나타냄에 따라 고객들의 가격 선택 폭은 더 넓어질 걸로 <BR>보인다. 무엇보다 해당 업체들의 경쟁이 케이블TV 업계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런 현상은 더 심화될 <BR>걸로 전망된다. </P> <P><BR></P> <P>한편, 방통위는 22일 SK브로드밴드와 LG데이콤의 이용약관을 전체회의에 상정해 의결할 것으로 전해지고<BR> 있다. 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